이번엔 읽으면서 영어로된 용어로 적어봐야겠다. 표준편차 - standard deviation 자유도 - degrees of freedom 자유도에 대한 설명을 읽다가 막혔다. 그러고보니 대학생때도 이쪽에서 막혔다가 그냥 외우고 지나쳤던 것 같다. 책의 설명은 매우 부족해서 여러 블로그 글, 위키, Youtube영상을 찾아보았다. 가장 좋았던 [설명]을 링크로 남겨본다. 자유도라는 의미는 이해하지만, 이걸 왜? 굳이? 표준편차를 구할때 써야하는지 이해가 안됐다. 여전히 자유도에 대한 설명만으로 표준편차 구할 때 써야할 이유는 잘 납득이 되지 않고, 불편추정량의 개념에 의해 쓰는 방법은 납득이 된다. 표본평균은 대개 모평균과 비슷하게 나오는데, 표본 분산은 모분산(?)과 값 차이가 많이 난다고 한다. 그래서..
통계학 / 류근관- 책에 나오는 히스토그램은 안읽고 딴짓을 많이하게 만든 챕터(...)가 되었다. 이전 장이 '어떻게해야 잘 설계할 것인가?'였다면, 이번엔 '시각화된 자료를 어떻게 잘 해석할 것인가?'이다. 그렇게 어려운 내용이 없어서 휙 지나치다가 재미있는 문제를 보았다. '경구피임약의 복용여부가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데이터였다. 책은 '복용자'와 '비복용자'의 데이터를 히스토그램으로 그린 뒤, 비복용자의 전체적인 값을 혈압 5mm 상승시키면 서로의 그래프가 일치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경구피임약을 먹는 사람들이 약 평균적으로 혈압 5mm가 상승한다고 적었다. (물론 책은 설명을 위해 단순화한 것이겠지만) 복용자가 비복용자에 비해 평균값이 5mm가 높다고 정말 5mm 커졌다고 봐야할까? 평균 ..
읽는 중: 통계학 - 류근관챕터: 1장 '통제집단'과 '처리집단'이라는 키워드를 읽었다. 과학이란 누가 같은 방법으로 연구해도 같은 결론에 도달해야한다고 들었다. 이런 생각에서 통제-처리로 나누는 방법이 필요한 것 같다. 게다가 처리집단만 존재할 경우, 실제 효과가 있는지 비교가 안되는 문제도 있다.그리고 자료를 읽을 시 숫자만 읽어서는 안된다. 통계적 숫자 이면에는 사람이 있고, 그 사람에겐 스스로를 움직이는 동기가 있다. 왜 통계학이 사회-심리-수학을 아우르는 학문이라는 말이 나오는지 이해가 된다. 잘못된 실험이 왜 잘못되었는지, 어떤 수치가 왜 잘못 읽힐 수 밖에 없는지, 말이다. 단순히 숫자만 보고 고개를 끄덕여서는 안된다. 그 숫자 뒤에 가려진 맥락을 읽어야 한다.'경험적 연구'는 통제가 쉽지 ..
테스트 게시물Posted by 열정페이 라디오 on 2015년 8월 6일 목요일
명령어 참고 [ http://gitref.org/ ] Step2 git reset --hard현재 상태에서 있는 파일을 뒤로 되돌린다. 그러나 커밋되지 않고 수정되지 않은 파일, 인덱스에 없는 파일은 삭제되지 않는다. git clean -xdf이렇게 하면 마지막 커밋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깃 헤드 돌리기 git reset --hard 5fd0이런 씩으로 헤드를 옮겨갈 수 있다,reset은 특정 시점으로 돌아간다고 볼 수 있다. git reflog헤드의 로그를 나타냅니다.head 가 옮겨진 로그가 남겨지있다. Step3 git branch깃 브랜치 종류가 나온다. git branch [이름][이름]의 브랜치를 추가한다. git checkout [이름][이름]의 브랜치로 이동한다. git commit -..
아래는 원본 소스입니다. 하다보니 바귄게 많은데, 아래 캡처한 어셈블리와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 69905; char strOK = (char)num; object oo = num; object oo2 = oo; int num3 = 5; num = num3; string str1 = "ca"; str1 = oo as string; Nullable num2 = (str1 as object) as Nullable; string str3 = str1; string str2 = str1 + str3; int numOK = (int)oo; char strFail = (char)oo; Console.Read(); } int를 char..
안뇽 여러분,버녘버녘하다가 파일 찾기가 진심 빡쳐서 혼자 해커톤 했어요(feat.해가 밝아와...) 대충 사용설명은 다음과 같음(그 프란시스코씨가 준거, HTML 파일에서 xlz 찾아서 자동으로 열어줌!)순서대로 진행하면 되요~ ===================================== 1) 1) 위의 순서로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래와 같이 대화상자가 열리는데, 아래의 지시대로 해주시면 되요 :) 폴더 선택가능한데, 저기 Batch2 폴더를 선택해줍니다.저기 안에서 파일을 검색해서 자동으로 열어줄꺼거든요!만약 하드디스크를 전체로 잡으면(...) 뭐지 몰라, 여는 순간 컴터가 멈출테니 걱정마세요...(...) 그러니까 검색하고자 하는 파일만 있는 폴더만.... 선택을.... 그 다음에 2번 버튼을..
Error: SQL Azure “Grantor does not have GRANT permission.”http://blogs.msdn.com/b/sql-bi-sap-cloud-crm_all_in_one_place/archive/2013/07/26/error-sql-azure-grantor-does-not-have-grant-permission.aspx 대략 이 글 따라하다가 왜 안되지 하고 맴붕하다, 답을 찾아냈습니다 -_-)아무튼, 목적:계정을 만들어, 데이터베이스 마다 다른 권한을 부여해주고 싶을 때, 증상:'Grantor does not have GRANT permission' 요런 에러와 함께 도대체고 권한을 줄 수가 없었습니다. 원인: 공부중(... 계정 권한 주는건 잘 몰라서, 학교 도서관 ..
MSP 7기 기년회 행사에서, 애자일 회고(인사이트) 책을 토대로 글로 배워(...) 애자일 회고를 해본 후의 후기입니다. 두서는 없지만, 사항 별로 나누어 정리해보았습니다. 1) 이 후기의 목적은? 몇가지 자료 준비 과정에 대한 이야기와 실제로 진행해본 후의 좋았던 점과 아쉬운 점을 체크해보고자 합니다. 2) 기획서 최초 회고 기획서 입니다. https://docs.google.com/document/d/1SZvZZTdSHlif-sGD_ITh7-8SPZc6M_oinzBwegWkbaw 해당 문서의 참고자료를 토대로, 제가 나름 요약 정리를 해본 내용입니다.이후 진행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본 설명서 입니다.https://docs.google.com/file/d/0B6CznPg1-7vLRjd0eU03T2h..
- Total
- Today
- Yesterday
- 발해성터
- 독립역사탐방
- 커피
- 사랑
- 롤라 런
- 서울
- 봉오동승전지
- 유 윌 미스 미
- 이티오피아
- 퍼프크림
- 다망해라
- 대담회
- 교차하는 여러 감정들
- 그리움
- 정의는 무엇인가
- 기본소득
- Je Vais Te Manqué
- 기본소득 블로그 선언
- 10년전 메일
- 중국탐방
- 커스터드크림
- 선우진
- 추억
- 미팅싸이트
- 아스트랄
- You'll Miss Me
- 영화
- 여행
- 슈크림빵
- 안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